pt - 하품

 

 

 

https://www.mindgil.com/news/articleView.html?idxno=70377 

이 기사를 보고 문의를 주시는 분들이 많다.

 

하품을 하는 이유? -- 모른다.

그래서 주장들이 있다.

그중에 많이 이야기되는 주장이

"뇌에 산소가 부족해서 산소를 공급받으려고 하는 것"

-> 1987, 로버트 프로빈에 의해 사실이 아니라고 밝혀짐

- 산소를 충분히 주는데도 하품을 하더라.

이건 그냥 생각해봐도 알 수 있다.

잠을 잘 못자고 피곤하다고 산소가 부족한 건 아니다.

 

다른 주장들

1) 신체 상태에 변화를 주기 위한 행동이다 (자고 일어나서 하는 것 등)

2) 진화론적? 원래 송곳니를 드러내어 경계하기 위한 행위? (서로 위협을 해서 경계를 강화하는 의미?)

-> 친밀한 관계에 있는 사람이 하품을 할 때 따라한다.

-> 인구의 60~70%만 다른 사람이 하품을 할 때 따라한다.

3) 뇌 온도 변화의 대응

(뇌 온도가 올라가면 하품을 많이 한다)

- 이마에 뜨거운 팩을 올려놓으면 41%가, 차가운 팩을 올려놓으면 9%가 하품을 한다.

- 하품을 하면 뇌 온도가 떨어진다 (하품을 하는 동작 자체가 뇌 온도를 떨어뜨린다. 숨을 확 들이마시고 입은 최대한으로 벌어지고, 혀가 최대한 아래로 밀착되면서 구강에서 인두까지 넓어진다. 

(원래 뇌의 온도가 0.2도정도 더 높은데, 하품을 해서 새 혈액을 보내면 뇌의 온도가 내려간다)

-- 코로 숨을 잘 쉬면 뇌가 잘 냉각되서 잘 안하는데, 비강쪽에 질환이 있으면 뇌 냉각이 잘 안되므로 하품을 자주하게 된다. 비염이 있다면 비염을 치료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한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고,

피곤할 때 나오는 것이다.

피곤한게 어떤 질병 때문에 피곤한 거라면

그 질병을 치료하면 된다.

 

즉, 하품에 focus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피로'에 focus를 맞추는 것이 맞다고 본다.

 

1. 수면 무호흡 --> 피곤해서

2. 편두통 ---> 피곤해서

3. 빈혈 ? -> 산소?

4. 협심증 심근경색 ? -> 산소?

5. 뇌경색 ? -> 산소?, 하품 반사를 일으키는 뇌의 어떤 부분의 문제 or 뇌경색이 있으면 아무래도 온도조절이 안될 것임

- 감각, 운동장애 : 감각이 떨어지고, 갑자기 한쪽만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 (입꼬리가 올라가지 않는다)

- 언어장애 : 말이 어눌해지거나, 이해가 가지 않는다. 또는 하려고 하는 말이 잘 나오지 않는다.

- 시각장애 : 한쪽 눈이 갑자기 안 보이거나, 물체가 2개로 

- 어지러움

- 갑자기 굉장히 심한 두통

6. 갑상선기능저하증 --> 피곤해서

 

이런 질병들을 너무 걱정할 것은 없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을 권함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