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BBB때의 intrinsicoid deflection시간 지연은 LVH때와는 다름

 
 
 
 
 
좌각차단(LBBB)에서 intrinsicoid deflection(ID) 시간 지연의 기전은 심근 두께 증가(LVH)와는 다른 전기적 활성화 경로의 변화에 기인합니다. 

1. 정상 전도 시스템 vs LBBB 전도 경로

  • 정상 상태: 좌심실 활성화는 좌각속을 통해 0.02초 내에 완료됩니다. 전기 신호는 푸킨예 섬유를 통해 동기화된 방식으로 전파됩니다.
  • LBBB 발생 시: 좌각속 차단으로 인해 우각속→우심실→심실중격→좌심실로 우회 전도가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3단계 지연이 발생합니다:
    1. 우심실 내 전도 시간 증가 (정상 0.02초 → LBBB 0.04-0.06초)
    2. 중격 횡단 전도 지연 (세포간 전도로 인해 0.04초 추가)
    3. 좌심실 내 회절 전파 (푸킨예 시스템 미사용으로 0.08초 지연)

2. 전도 속도 감소의 물리적 기반

  • 푸킨예 섬유 vs 심근 세포 전도 속도:
    • 푸킨예: 2-4 m/s (고속 전도)
    • 심근 세포: 0.3-0.5 m/s (저속 전도)
  • LBBB 시 중격과 좌심실 벽 활성화는 심근 세포 간 전도에 의존하므로 전파 속도가 80-90% 감소합니다.

3. 활성화 순서 변화의 영향

  • 정상 활성화: endocardial → epicardial 직선 경로
  • LBBB 활성화:
    • 1단계: 우심실 endocardial 활성화 (V1에 r파 형성)
    • 2단계: 중격 우→좌 전도 (V5-V6의 R파 상승 시작)
    • 3단계: 좌심실 벽 회절 전파 (R파 peak까지 0.06초 이상 소요)
  • 이 3단계 과정에서 전기적 벡터의 공간적 분산이 발생하며, 이는 QRS 확장과 ID 지연으로 나타납니다.

4. 전기-기계적 분리 현상

  • LBBB 환자에서 관찰되는 특징적 현상:
    • 초기 중격 수축(septal beaking)과 후기 측벽 활성화 간 시간차(평균 40-60ms)
    • 심초음파 상 apical rocking 현상: 초기 심첨부 중격 이동 → 후기 측벽 이동
    • 이러한 기계적 지연이 전기적 ID 지연과 상호작용

5. 임상적 검증 사례

  • 심실내 매핑 연구: LBBB 환자에서 좌심실 측벽 활성화 시간이 80-120ms 지연
  • CRT 치료 반응: ID 시간 ≥75ms인 환자에서 심실 재동기화 치료 반응률 82% (ID 정상군 대비 3.2배 증가)

결론적으로, LBBB의 ID 지연은 전도 경로 변경→전파 속도 감소→활성화 순서 변화의 3중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단순 심근 두께 증가(LVH)와는 구분되는 전기생리학적 특징입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