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코, 입은 왜 모여 있을까? - 12개 뇌신경의 이해

일단 머리가 위에 있는 이유

 

중요한 걸 보호하기 위해서

위에 있는게 안전해? 아래 있는 게 안전해?

 

그래서 위로 올리다 보니 제일 끝까지 올라가게 된거지.

 

심장/폐가 더 중요하지 않아요?

일리가 있어.

근데 이걸 다 위로 올리면 너무 size가 크잖아.

그렇게 해버리면 완전 가분수가 되어버릴거야.

 

그리고 순환이라는 거는 중심에 있는게 유리하지

중심에서 사방으로 피를 줘야 하니까,

어느 한쪽에 쏠려있으면 아무래도 비효율적이지

 

어찌됐건 그래서

머리가 제일 위에 있고

그 다음 중앙부에 가슴이 있고

나머지를 다 때려 넣은 게 복부다.

 

그러면 눈, 코, 입은 왜 머리쪽에 붙어있을까?

정보의 전달 때문이야.

머리가 뭔가 판단을 하려면 정보가 있어야 하잖아.

무슨 정보?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맛보고 하는 정보

근데 이런 정보가 멀리 떨어져 있으면 될까?

빨리 판단하고 실행해야 되는데, 저 멀리 있으면 그게 안되잖아

 

그래서 눈, 귀, 코, 입이 머리 가까운데 붙어있는 것이다.

 

사실 입은 조금 밑에 있어도 된다.

위 바로 앞에

그러면 식도라는 게 필요가 없잖아.

그러면 우리가 역류성 식도염으로 고생할 일도 없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거는

공기통로와 밥통로가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게 같이 있어서 불편한게 너무 많다.

사래들리는 거.

심하면 흡인성 폐렴 -> 치료가 상당히 힘들다.

 

어쨌든 이렇게 불편한 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맛을 느끼고, 씹고 삼키고 하는 게 워낙 중요하다 보니

얼굴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신경도 그런 식으로 되어 있어.

뇌신경이라고 하는데

영어로는 cranial nerve

 

우리가 팔다리 움직이는 건 척수신경이야.

뇌에서 신경다발이 척수로 갔다가 한 가닥씩 해서 근육으로 가는건데

뇌신경이라는 건, 뇌에서 척수로 안가고 막바로 가는 거지

굉장히 중요하다는 거를 알 수 있는데 12개야

 

번호 이름 유형 성분 기원 기능 및 분포
1번 후각신경 감각성 SVA 끝뇌 코로부터의 냄새정보 (코 안쪽 상피)
2번 시각신경 감각성 SSA 사이뇌 눈으로부터의 시각정보 (망막)
3번 눈돌림신경 운동성 GSE
GVE(섬모체신경절)
중간뇌 눈돌림 근육
동공 수축, 수정체 모양(섬모체근)
4번 도르래신경 운동성 GSE 뒤뇌(중간뇌로 출현) 눈돌림 근육 중 위빗근(superior oblique muscle)
5번 삼차신경 혼합성 GSA GVA SVE 교뇌(뒤뇌) 얼굴과 입으로부터의 감각정보, 씹는 운동을 위한 운동신호
6번 갓돌림신경(외전신경) 운동성 GSE 교뇌(뒤뇌) 눈돌림 근육 중 가쪽곧은근(lateral rectus muscle)
7번 얼굴신경(안면신경) 혼합성 GSA GVA GVE SVA SVE 교뇌(뒤뇌) 미각 눈물샘과 침샘, 얼굴 표정을 위한 원심성 신경신호
8번 속귀신경(청신경) 감각성 SSA 교뇌(뒤뇌) 청각과 평형감각
9번 혀인두신경(설인신경) 혼합성 GSA GVA GVE SVA SVE 연수(숨뇌) 구강 내 감각, 혈관 내의 압력수용체와 화학수용체로부터의 감각 삼키기, 귀 밑 침샘 분비를 위한 원심성 신경
10번 미주신경 혼합성 GSA GVA GVE SVA SVE 연수(숨뇌) 많은 내장기관, 근육, 샘의 감각과 원심성 신경
11번 더부신경 운동성 GSE SVE 연수(숨뇌) 입속의 근육, 목과 어깨의 일부 근육 부분
12번 혀밑신경(설하신경) 운동성 GSE 연수(숨뇌) 혀 근육

 

미주신경 말고는, 전부다 얼굴쪽에 관여된 신경이라고 보면 되겠다.

그만큼 얼굴에서부터 오는 감각, 움직임을 뇌가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