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대표적인 당뇨의 합병증
초기에는 혈관의 벽을 지지하는 구조들이 약해지면서 혈관이 확장되고 약한 혈관은 터지면서 출혈이 발생한다 => 비증식 당뇨망막병증
진행되면 혈관이 약한 부분들은 혈관이 많이 막히기도 하고 그로 인해 혈액 공급이 부족한 것을 공급하기 위해 신생혈관이 생긴다. 신생혈관이 생긴 단계부터 증식 당뇨망막병증이라고 한다.
이렇게 혈관이 막 생기면 좋은 거 아니야?
그렇지 않다. 이러한 신생혈관들은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혈관의 구조가 약하기 때문에 쉽게 터져서 눈 안에 망막출혈 또는 유리체출혈을 잘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신생혈관들이 수축하면서 망막을 같이 잡고 떨어지는 견인망막박리와 같은 중요한 합병증을 일으키게 된다.
당뇨의 유병기간이 길어지면서 거의 대부분의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은 나타난다.
그런데 검사를 하기 전까지는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없다.
증상을 느끼고 나서 검사를 받을 때는 이미 돌이키기 어려운 정도까지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당뇨환자의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안과검진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눈은 우리가 생체 내에서 혈관구조를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관이다.
눈에 있는 미세혈관 합병증을 봄으로써 다른 곳의 미세혈관병증 정도를 추측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된다.
잘 보인다고 해도 검사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조기에는 아무 증상도 없다. 잘 보인다.
또한 당뇨가 늦게 진단되었을 수 있어, 진단시점으로부터의 유병기간이 많은 것을 이야기해주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당뇨 진단시점에 당뇨 망막병증이 이미 있는 경우도 있다.
즉, 당뇨 진단시에는 안과 검진을 같이 받는 것이 맞다.
그냥 안저검사를 통해서 당뇨망막병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냥 앉아있으면 특수렌즈를 통해서 눈안을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었다.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부분인 황반 부위에 부종이 있는지, 또는 혈류장애에 의한 위축이 없는지 확인하고, 혈관이 막힌 부분이 있는지, 또는 신생혈관같은 비정상적으로 새로 생긴 혈관이 있는지 확인한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발생, 진행을 막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혈당조절
아주 심하게 진행된 비증식 당뇨망막병증부터는 그 이상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기 위해 레이저치료를 한다 (범망막광응고레이저). 눈 주변 혈관들 중 많은 변화가 있는 부분들에 레이저를 함으로써 실제로 그 부분의 기능을 좀 떨어뜨려서 어떤 비정상적인 변화가 생기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레이저 치료는 실제 눈을 회복시키거나 더 좋아지게 하는 치료는 아니고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하는 치료이다.
당뇨망막병증을 조기에 발견해서 제때 치료를 하지 못하면 실명의 주요 원인이 된다. 즉 영구적인 시력저하를 일으키는데, 특히 당뇨망막병증은 한창 일할 나이인 40-50대에서도 시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최근에는 치료가 많이 좋아져서 치료를 적극적으로 한다면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되어 시력을 영구적으로 상실하는 경우는 매우 적다 (치료를 안 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
'기역의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초음파-갑상선결절 (0) | 2021.04.08 |
---|---|
디에타민 (0) | 2021.04.08 |
독감 예방접종 (0) | 2021.04.08 |
건강학개론:증상이 없는 병 =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0) | 2021.04.07 |
폐암 (0) | 2021.04.06 |
우리가 궁극적으로 고혈압을 치료해야 하는 이유 (0) | 2021.03.10 |
소화성궤양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의 3대 원인 (0) | 2021.03.09 |
pt - 류마티스인자 (Rheumatoid factor, RF) (0) | 202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