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대장에서의 분비

소장에서의 분비

 

십이지장의 브루너 샘에 의한 점액의 분비

이 샘은 pylorus부터 AoV사이에 위치한다. -- 위내시경으로 볼 수있는 딱 그 부위이다.

분비를 자극하는 인자는?

1) 십이지장 점막의 자극

2) 미주신경

3) secretin

여기서 분비되는 점액은 위에서 넘어온 산성 위액에 십이지장이 손상받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점액에는 HCO3-가 포함되어 있어, 췌장 및 담즙의 HCO3-와 함께 위산의 중화를 돕는다.

 

추) 교감신경은 브루너샘 분비를 억제한다. 

따라서 극도의 긴장상태에 장기간 노출되면 점액이 줄어들어

위산노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해서

duodenal bulb에 ulcer가 잘 생긴다.

 

Crypt of Lieberkuhn에서의 분비

소장 전체에 걸쳐 융모 사이사이에는 골짜기 (crypt)가 있다.

1. goblet cell에서 점액이 분비 -  소장벽을 덮어서 보호

2. enterocyte(장세포)에서 묽은 용액 (거의 세포외액과 비슷한) 분비 : 1800ml/day

-- crypt깊숙한 곳에서 분비되서 융모쪽으로 올라가 흡수된다. 이런 순환과정에서 미즙에 있는 영양분들이 융모에서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돕는다. (watery vehicle의 역할)

-- 융모의 상피세포에는 소화효소가 달려있다 ; 주로 최종소화를 담당하는 녀석들이다

; peptidase - 조그만 펩티드를 아미노산으로 잘게 부수는 효소

; sucrase, maltase, isomaltase, lactase - 이당류를 단당류로 잘게 부수는 효소

; intestinal lipase - 중성지방을 분해하는 효소

 

추) crypt깊숙한 곳에서 세포분열이 왕성하게 일어나서 새로운세포들이 계속 위쪽으로 올라간다.

그래서 원래 있던 융모상피는 떨어져 나가고, 팔팔한 녀석(소화효소를 달고 있고, 적극적으로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젊은 세포)들로 대체된다.

이런 식으로 되므로 장 상피세포의 생명주기는 5일이다.

 

추2) 이러한 소장에서의 분비를 조절하는 주요 수단은 장신경계 (enteric nervous system)이다.

즉 장내에 미즙이 얼마나 어떤 형태로 있느냐에 따라서 알아서 조절된다.

 

대장에서의 분비

 

대장에서의 분비는 주로 점액이다.

이게 왜 그러냐면 대장 점막은 crypt of Lieberkuhn은 똑같이 있는데, 융모가 없어.

영양분 흡수를 안하니까 융모가 필요가 없지.

그러니까 crypt깊숙한 곳에서 융모로의 순환 이거 필요 없지. 그러니까 묽은 전해질 용액은 있을 이유가 없다.

그래서 다 점액이예요.

 

이 점액은 어떤 역할을 하느냐

1) 대장벽이 떨어지지 않게 보호, 박테리아로부터 보호

2) 끈끈하니까 분변물질을 함께 섞이도록 붙여주는 기능

3) HCO3-가 포함되어 있어서 분변 내에 포함된 산이 대장벽을 공격하는 것을 방어

 

그래서 이 점액은 필요에 의해 분비가 되는데

부교감신경 (pelvic)이 자극되면 확 많이 분비된다. (대장의 distal 1/2에서)

부교감신경 자극이 되면 대장의 연동운동도 빠르게 일어나고, 점액도 많이 분비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분비와 운동은 함께간다)

 

이렇게 주로 점액이 분비되는데,

묽은 전해질 용액이 분비될 때가 있습니다.

설사할때..

감염되거나 특정 물질에 의해서 자극이 되면

점막은 어마어마한 물, 전해질을 분비해서 내용물을 항문쪽으로 쭉쭉 밀어내게 된다.

이것이 바로 설사.

안좋은 것(자극요인)을 빨리빨리 내보내려는 목적으로 디자인된 기능으로 생각이 되는데,

이것이 과도하게 되면 물, 전해질 손실이 많이 일어나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보충을 잘 해줘야 되겠죠.

 

여기까지 해서 이번 단원을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단원은 "흡수"입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