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륨이 부족하면 근육에 힘이 안 들어가는 이유
- 기역의 글모음
- 2021. 8. 24. 12:02
칼륨이 부족한것과
근육하고 무슨 상관?
이게 상관이 있다.
실제로 저칼륨혈증이 심하게 올 경우
근육이 쇠약해진다. (muscle weakness)
그러면 도대체 힘은 왜 빠지는가?
이걸 설명하려면
근육 수축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되는데,
그게 되게 오래 걸려서, 엄청 단순화시켜서 설명하겠습니다.
세포가 있으면
세포 안에는 K가 많고,
세포 밖에는 Na가 많아요.
그러면 세포 안은 -, 세포 밖은 +가 됩니다.
그러다가 어떤 자극을 받으면 통로가 열려서
세포 밖에 있는 Na가 안으로 우루루 들어옵니다.
그러면 세포 안이 +가 되면 연쇄적으로 다른 통로들이 우루루 열려서
Ca이 들어오고, 그게 수축하게 되는 겁니다.
아마 전세계에서 제일 짧은 설명일듯;;
어쨌든 복잡하게 들어가면 Nernst equation도 있고 많은데, 그냥 이거다.
근데 지금은 세포 밖에 K가 엄청 심각하게 부족해진 상황이죠
그러면 세포안이 - 가 -------- 엄청 심하게 되는거야
그러면 자극이 들어와도 통로가 안열려.
그러니까 원래 -90이었다 치면 -70이 되어야 Na통로가 열리는데,
-110 이렇게 된거야 그러면 -90이 되도 안열리잖아.
그러니까 다음 step이 진행될 일이 없겠지요.
근육이 반응을 안하고 가만히 있는거야.
근육이 수축을 안하면
근육으로서의 존재의의에 문제가 생기는 거지.
이게 그냥 우리가 운동할 때 쓰는 근육만 생각해서 이정도인데,
사실 호흡도 다 근육이 하는 거거든요?
근데 근육에 힘이 빠지면? 숨쉬는데 문제가 생기는 겁니다.
그리고 위장관 운동도 근육이 하는거죠.
그래서 hypokalemia가 있으면 위장관 운동이 멈쳐서 복부팽만, 구역, 구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도 건드려도 아무 반응도 없고, 대답도 없고, 이런 애라고 생각하면 돼
선생 입장에서는 미치고 환장하는거지.
근데 지금 설명한 거는 일반적으로 골격근에서 그렇다는 겁니다.
심장근육은 안 그런데
심장근육에서는 hypokalemia가 Na-K-ATPase를 downregulation시켜서 Na가 슬슬 안으로 들어와서 흥분도가 오히려 증가해서 arrhythmia가 생기기도 한다.
Purkinje fiber의 경우는 아님 -- hypokalemia에 의해 K2P1 channel로 하여금 Na를 세포내로 운반하게 하여 오히려 excitability가 올라가서 arrhythmia가 온다.
결국 뭔가 더 잘 흥분하게 되기 때문에 저칼륨혈증이 오면,
여기저기서 premature beats이 많이 생기기도 하고, 그러다가 부정맥이 오기도 합니다.
----------------------------------------------------------------------------------------------------------------------
그리고, 다시 골격근으로 돌아와서..
칼륨이 부족하면 근육에 힘 빠진다고 말씀드렸는데,
사실 일반적으로는 이런 일이 잘 안와요.
꽤 심하게 칼륨이 부족해야 합니다.
보통은 2.5위에서는 별로 안오고, 2.5아래로 떨어져야 오지만
갑자기 저칼륨혈증이 오는 경우에는 2.5위에서도 올 수 있다.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thyrotoxic periodic paralysis → 나름대로의 pathophysiology가 있어서 개별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보통 근육에 힘 빠지는거는
하지부터 시작해서
몸통
그리고 상지로 이어진다.
근육이 힘이 빠지는 거 말고도, 근육경련이 올수도 있고, 근육이 부서져서 횡문근융해증이 올 수도 있다.
경련이야 이런 저런 균형이 깨지니까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난리치는 거고,
횡문근 융해증이 오는건 이런 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원래 운동을 하면 근육으로 피가 많이 가야 하잖아.
그러면 어떻게 피가 많이 갈 수 있느냐?
그걸 예전에 adenosine으로 한번 설명한 적이 있어.
근데 그거 말고도 K+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운동을 하게 되면 K+이 슬슬 빠져나가고, 얘가 혈관을 확장시켜서
이쪽으로 혈액을 더 주세요 하고 있단 말야.
근데 전체적으로 K가 너무 없어 그러면 빠져나갈 K가 없으니, 안 나간단 말야
그러면 혈관 확장이 아무래도 덜 되고, 그러다보면 혈류 공급이 안되겠지.
그러다 보면 근육이 부서지게 되는 원리로 올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K가 부족할 때 어떤 이상이 오느냐를 좀 중점적으로 살펴봤습니다.
'기역의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로결석 (0) | 2021.08.30 |
---|---|
근로능력판정기준 (0) | 2021.08.27 |
들어올 때는 물만 들어왔는데, 나갈때는 소금물이 나간다 - SIADH의 원리 (1) | 2021.08.26 |
갑상선일반 - 갑상선기능항진증/저하증/갑상선염 (0) | 2021.08.26 |
숨을 과도하게 많이 쉰다는 것 (feat. hyperventilation) (0) | 2021.08.23 |
척추마취의 생리학적 영향 - 교감신경계는 우리 몸에서 어떠한 일을 하는가 (0) | 2021.08.16 |
BRCA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으면 유방암 위험이 얼마나 증가할까 (0) | 2021.08.16 |
HYPOKALEMIA - 저칼륨혈증의 원인 (full version) (0) | 202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