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413 - 암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다윈의 진화론)

지금까지 모든 생물학자 중에서

인간사에 가장 깊고 넓게 영향을 미친 사람이 누구일까?

투표를 해 보면 누가 나올까요?

 

저는 '다윈'이 꼭 거론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진화론으로 지금 우리가 어떻게 이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지에 대한 큰 틀을 잡았죠.

그것만으로도 위대한 업적인데,

이 개념이 암 발생을 설명하는 데도 적용이 됩니다.

 

그러니까 암이 발생하려면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해야 하는데,

이 과정이 한번에 쓱 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단계를 거쳐서 일어납니다.

 

정상세포 --- 단계1 --- 단계2 --- --- ----- 단계n --- 암세포

그러면 세포는 이런 단계를 어떻게 밟아나가는 것일까

먼저 수많은 세포들이 있으니 그 중에서 다양한 돌연변이가 발생하겠죠.

그 중에서 좀더 잘 자라고, 잘 증식하는 녀석이 있을거예요.

그 녀석이 선택되는 겁니다. force of selection (선택압)

시간이 지나면 그 녀석만 남고 다른 세포들은 다 없어지게 되죠.

그러다가 그 녀석들 안에서 새로운 또 돌연변이들이 발생할텐데,

그 안에서 더 잘 자라고, 잘 증식하는 녀석이 또 선택되는 겁니다.

이런식으로 계속 반복으로 하면, 점점 더 잘 자라는 녀석들로 세포들이 점점 바뀌게 되겠죠.

이게 어느 임계점을 돌파하면 바로 암세포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다윈은 생물종의 어떤 군집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다룬 것이고,

세포단에서 논리를 전개한 것은 아니예요.

하지만 그 논리가 이 암의 발생을 설명하는 데 (multi-step tumor progression을 설명하는 데)

기가 막히게 들어맞은 것이죠.

이런 걸 보면서 위대한 개념의 보편성에 대해서 생각하게 됩니다.

 

물론 이 개념만으로 암의 발생이 완벽히 설명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암 발생에 또 중요한 것이 epigenetic alteration (e.g., DNA methylation)인데,

이건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문제입니다.

변이가 없이.. 즉 DNA염기서열이 하나도 변하지 않고 발현이 조절되는 기전인데 이게 암 발생에 있어 중요하거든요. 그런 걸 설명할 수는 없고

 

또 돌연변이가 이렇게 생겨서 자라고 하는게 디테일하게 보면 조금 다른데,

예를들어 tumor suppressor gene이 불활성화되는 건, 먼저 변이나 methylation이 일어나서 먼저 한쪽이 불활성화가 되고, 그 다음에 LOH로 남은 정상 copy가 제거되서 완전히 없어지게 되죠. 그러니까 두 쪽이 다 없어져야 된다는 겁니다.

 

이렇게 따지고 들어가면 다윈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없는 여러 프로세스들이 있지만,

그래도 그 개념이 큰 틀을 잡은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자, 그래서 오늘은

"암은 어떻게 발생하는가"라는 주제를 다윈의 진화론적 관점에서 말씀드렸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