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언가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은 그냥 되는 것이 아니다 - 우리 몸은 어떻게 혈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가
- 기역의 글모음
- 2021. 7. 27. 12:38
무언가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은 힘든 일
수험생 때 중요한 것은
공부 페이스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죠.
그럴려면 노력이 필요합니다.
주변의 유혹에 맞설 수 있는 굳센 마음 이런게 필요하죠.
그러니까 무언가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거는 그냥 되는 일이 아니라는 겁니다.
우리몸도 그렇습니다.
우리몸은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참 많죠
체온
맥박
혈압
혈당 등..
그 중에 오늘 알아볼 것은 혈류 입니다.
"혈류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 이것도 우리몸의 대원칙 중 하나가 됩니다.
그러면 이렇게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혈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혈류는 자연스럽게 따라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거 아니야?
그러면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혈류는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잖아.
근데 그렇지 않습니다.
혈압이 어느정도는 일정하게 유지되긴 하는데, boundary를 놓고 조절기전이 작용하는 거지
딱 어느 선에 맞춰져 있는 건 아니거든요
즉, 혈압은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커피마시거나, 스트레스 받거나, 계단 올라가거나 이럴 때도 올라간다.
그러면 그때마다 우리 몸의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변하면 안되잖아.
이게 왜 그러냐면
혈류라는 건 결국 돈이거든?
만약 혈압이 올랐다고 각 조직에서 너도나도 혈류가 증가하면,
불필요하게 돈을 쓰게 되서 일단 우리몸이 비효율적으로 돌아간다.
우리몸은 비효율적인 것을 극도로 싫어한다.
또한 돈이라는 건 누군가 열심히 일해서 벌어야 되는거지.
우리몸에서는 누가 열심히 일해서 주는가? 심장
그러면 전체적으로 혈류가 증가하면
심장이 그만큼 일을 더 해서 돈을 벌어야 된다는 뜻이 되고,
그런 상황이 오래 지속되면 심장이 지쳐 쓰러진다.
그래서 우리 몸은 돈을 꼭 필요한 경우에 딱 그만큼만 쓸 수 있도록 시스템이 발달되어 있다.
그 가장 기본이 뭐냐면
바로
"혈류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라는 대원칙이다.
"고혈압이 몸에 좋지 않은 근본적인 이유"에서도 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한 바 있다.
https://geeyug.tistory.com/170?category=843059
그러면 혈압이 올라가는데
혈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혈관저항을 올리면 된다.
혈류 = 혈압 / 혈관저항
혈관저항을 올린다는 것은
= 혈관의 직경을 줄인다.
= 혈관을 구성하는 근육(평활근)이 수축한다.
이게 어떻게 가능한 일일까?
2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대사성 이론
- 혈압이 높으면
→ 과다한 혈류
→ 필요이상의 산소와 영양분 공급
→ ATP가 adenosine보다 상대적으로 많아짐
→ 혈관수축
둘째. 근원성 이론
- 혈압이 높으면
→ 혈관이 신전된다 = 늘어난다
→ 늘어나면 반사적으로 혈관벽의 평활근이 수축한다.
이건 평활근이 늘어나면
세포 표면에 stretch receptor가 있어서
이온 channel이 열려서
평활근이 탈분극되면
세포외의 칼슘이 들어와서
수축하는 기전인 것 같다.
어찌되었건 이런저런 기전에 의해서
우리 몸의 혈류는 가급적 일정하게 유지되려고 노력중이다.
그런데 그게 끝이 아닌게,
또 조절이 필요할 때는 조절할 수 있도록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예를 들어 열심히 운동할 때는 근육으로 혈류가 증가하고
밖이 너무 더워서 땀이 나야 할때는 피부로의 혈류가 증가하고..
그래서, 평상시에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필요할때는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이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오랜 기간에 걸친 진화의 산물이 아닌가 싶다.
'기역의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iparatide (포스테오 주) - 보험기준, 부작용 (0) | 2021.07.29 |
---|---|
re-expansion pulmonary edema는 실재하는 병인가? (0) | 2021.07.28 |
암수치가 올라갔다고 암인가 (0) | 2021.07.28 |
혈압약, 당뇨약, 고지혈증약 equivalent dose for 자가약 대체 (0) | 2021.07.28 |
많이 일한 놈에게 많이 준다 - 우리 몸 재난지원금(혈류) 분배의 원칙 (0) | 2021.07.26 |
누가누가 돈(혈류)를 많이 가져가나. 우리 몸 예산 분배 (0) | 2021.07.23 |
오메가3 급여 인정기준 (0) | 2021.07.23 |
세상에서 가장 빠른 혈압약 작동원리 설명 (0) | 202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