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강하주사 - 비니카핀(nicardipine)과 라베탈롤(labetalol)
- 기역의 글모음
- 2021. 4. 20. 14:23
<비니카핀주 (10mg/10ml) = nicardipine>
200cc 5DW에 + 비니카핀주 5개 mix하여
시간당 10 cc/hr로 시작하자
매 5분마다 평가하여 5cc/hr로 증가하고 시간당 30 cc/hr까지 증량
변형 :
100cc NS에 + 비니카핀주 2개 mix하여
시간당 10 cc/hr로 시작
매 5분마다 평가하여 5cc/hr로 증가하고 시간당 30 cc/hr까지 증량
그런데 2amp mix하면 너무 빨리 떨어지는 느낌임
변형2 :
100cc NS에 + 비니카핀주 1개 mix하여
시간당 10 cc/hr로 시작
매 5분마다 평가하여 5cc/hr로 증가하고 시간당 30 cc/hr까지 증량
변형3:
100cc NS에 + 비니카핀주 3ml (10cc중 3cc를 뽑아서 mix)
30분간 투여
-- 이때 남은 비니카핀은 버리지 않는다 (더 쓸수도 있으므로)
- 기전
2세대 dihydropyridine calcium channel blocker
: 높은 혈관 선택성과 뇌와 전신 혈관 확장의 강한 능력
: onset - 5 to 15 min
duration - 40 to 60 min
: Initial infusion rate is 5 mg/h, increasing by 2.5 mg/h every 5 min to a maximum of 15 mg/h
: Few serious adverse effects - thrombophlebitis, headache, flushing, tachycardia, dizziness, nausea
- 용법
이 약은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5% 포도당주사액으로 희석하여, 염산니카르디핀으로서 0.01-0.02%(0.1-0.2mg/1ml) 용액을 점적정주한다. 이 경우, 1분에 체중 1kg당 0.5-6㎍의 점적속도로 투여한다. 투여시에는 1분 체중 1kg당 0.5㎍의 속도로부터 투여를 시작하여, 목적치까지 혈압을 내리고, 이후 혈압을 모니터하면서 점적속도를 조절한다.
- 계산분석
250ml = nicardipine 50mg
1hr = 10ml = nicardipine 2mg
1min =1.7ml = nicardipine 0.033mg = 33ug
체중을 60kg으로 가정하면 1분당 kg당 대략 0.5ug이 투여되는 것임
- 다음 환자에서는 투여하지 말 것
1) 두개내출혈로서 지혈이 되지 않았다고 추정되는 환자(출혈을 촉진시킬 가능성이 있다.)
2) 뇌졸증 급성기로 두개내압이 항진되어 있는 환자(두개내압을 상승시킬 위험이 있다.)
3) 이 약 및 항고혈압약에 과민증 또는 과민증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4) 급성심부전으로서, 고도의 대동막판협착ㆍ승모판협착, 비대형폐색성심근증, 저혈압(수축기혈압 90mmHg미만), 심원성쇽크가 있는 환자
5) 급성심부전으로서 발병직후에 상태가 안정되어 있지 않은 중증의 급성심근경색환자
6) 대동맥판협착증 환자
7) 이완기 혈압강하가 심근 산소공급 증가보다 안 좋은 환자.
<라베신주사20밀리그람(20mg/4ml) = labetalol>
1) 20mg bolus(1amp)을 30초에 걸쳐서 주고 10분 간격으로 1amp~2amp씩 준다. (최대 누적용량 200mg)
2) 처음 bolus로 1amp 30초에 걸쳐서 주고 1 to 2 mg/min로 titration
200cc 5DW에 라베신주 10개 mix해서 60-120cc/hr
200cc 5DW + 라베신주10개 (40ml) = 240ml
240ml = labetalol 200mg
1hr = 60cc = labetalol 50mg
1min = 1cc = labetalol 0.8mg
- 용법
1. 고혈압
1) Bolus 정맥주사 : 신속한 혈압강하가 필요한 경우 50mg을 1분 이상에 걸쳐 정맥주사한다. 필요하면 혈압이 잘 조절될 때까지 5분마다 반복 투여하며 최대 200mg까지 투여할 수 있다. 보통 최대효과는 투여 후 5분 이내에 나타나며 작용지속 시간은 6시간 정도이나 18시간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2) 점적 정맥주사 : 이 약을 1mg/mL의 농도가 되도록 주사액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이 약 200mg을 염화나트륨가포도당주사액이나 5% 포도당주사액에 혼합하여 최종 부피가 200mL가 되도록 한 다음 점적 정맥주사한다.
2. 임신성 고혈압
초회량으로 20mg/hr의 속도로 점적 정맥주사하고, 혈압이 잘 조절될 때까지 또는 주입속도가 160mg/hr에 도달할 때까지 30분마다 용량을2배씩 증가시킨다. 필요한 경우 고용량을 투여할 수 있다.
3. 급성 심근경색에 의한 고혈압
초회량으로 15mg/hr을 점적주사하고 혈압조절상태에 따라 최고 120mg/hr까지 점차적으로 증량한다.
4. 기타 원인에 의한 고혈압
혈압이 잘 조절될 때까지 약 2mg/분 속도로 주입한 다음 투여를 중지한다. 보통 유효량은 50~200mg이나, 특히 크롬친화세포종 환자에서는 고용량이 필요할 수 있다. 주입속도는 의사의 판단하에 혈압조절상태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 약을 점적 정맥주사하여 혈압이 적절히 강하되면, 유지요법으로 1회 100m, 1일 2회 경구제를 투여한다.
- 기전
1) Nonselective beta-adrenergic and selective alpha1-adrenergic receptor blocker
Beta:alpha antagonism of IV labetalol - 비율은 대략 7:1
2) Reduction in peripheral vascular resistance without causing reflex tachycardia
Potentially causing bradycardia
3) Onset : 2 to 5 min after IV administration
Peak at 5 to 15 min
Last 3 to 6 h.
4) Loading dose of 20 mg, followed by repeated incremental doses of 20 to 80 mg
at 10-min intervals until the desired BP is achieved,
up to a maximum cumulative dose of 300 mg.
5) After the initial bolus, an infusion of 1 to 2 mg/min titrated to the desired BP can be effective
6) Avoided in patients with asthma, uncontrolled heart failure, sinus bradycardia,
or greater than first-degree heart block.
-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중증의 장기 저혈압 환자, 중증의 서맥(현저한 동서맥), 방실차단(2, 3도), 동방차단 환자, 심인성 쇽 환자, 폐고혈압에 의한 우심부전 환자, 심부전 환자
3) 급성 심근경색에 의한 고혈압 환자 중 말초혈관수축으로 심박출량이 감소된 환자
4) 당뇨병성 케토산증, 대사성 산증 환자
5) 기관지 천식 또는 폐쇄성 기도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
'기역의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pt - 실신 설문지, 미주신경성실신 (vasovagal syncope) (0) | 2021.04.20 |
---|---|
저혈압 (0) | 2021.04.20 |
류마티스관절염 (0) | 2021.04.20 |
덱사메타손 (0) | 2021.04.20 |
페링가니트 (ntg, nitroglycerin 주사) (0) | 2021.04.20 |
스테로이드 연고의 등급 (0) | 2021.04.20 |
폐결절 (0) | 2021.04.19 |
변비약 = 하제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