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저림

1. 기본개념

손발이 저린 증상은 감각신경의 문제이다.

감각이 느껴지는 길은 말초신경으로부터 시작해 척수를 거쳐 로 정보가 전달된다.

따라서 말초? 목? 뇌? 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2. 신경병통증의 여러 표현

- 저리다.

- 전기 오듯 찌릿

- 찌르듯 따끔거린다.

 

3. 저린 부위가 중요하다

- 한 손 혹은 한 발 : 그 손 혹은 발에 해당되는 말초신경의 병 (ex. carpal tunnel syndrome)

- 양 손 혹은 양 발 : 다발성 신경병증 - 당뇨, 술, 간질환, 콩팥질환 -- 하루이틀 된 문제가 아니다. 혈액순환의 문제가 아니므로 손발이 차지는 않다.

- 한쪽 팔, 다리, 몸통 - 뇌 or 척수의 병변 (ex. 디스크)

- 온몸이 저리다 : 대부분 병이 없는 경우가 많다. - 말초신경, 척수, 뇌로 설명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심리적인 문제이다.

 

4. 뇌졸중에 의한 감각이상

- 저림, 통증보다는 무감각, 마취한듯 (치과치료할때 마취한 듯한 느낌)이 더 많다.

- 뇌졸중은 뇌혈관 문제 (막히거나 터지거나)

- 뇌세포가 죽게 됨 -> 감각을 못 느끼는 음성 증상, 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감각이 없어짐

- "갑자기" : 이게 가장 중요하다.. 갑자기 발생했다고 하면 우선적으로 뇌졸중을 생각해야 한다.

- 손과 입술 (mapping상 붙어있다.) -- 손과 입술이 저리고 갑자기 생겼으면 뇌경색 가능성이 있다.

-  몸의 한쪽만 (반신마비)

- 뇌졸중으로 인한 감각이상은 주로 감각이 둔해지지만 예외가 있다. 시상(thalamus)라는 부위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이다. 시상(thalamus)은 말초의 감각을 다 모아서 잠깐 쉬고 다른 곳으로 보내주는 부위이다. 즉 통증감각을 한번 조율해서 보내주는 부위이다. 이쪽에 문제가 생기면 이런 신호처리에 문제가 생겨서 둔한 감각보다는 반대쪽 이상감각, 혹은 저림을 느끼게 된다. 이 부분은 또한 운동신경과 붙어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병이 생기면 힘이 빠지거나 비틀거리는 증상이 생길 수 있다.

 

5.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저림

- 실제로는 많지 않다.

- 더 말단 부위에 많다. 손발보다는 손가락, 발가락

- 차다

- 피부색이 변한다. : 찬곳에 노출되면 하얗게 되거나 더 심하면 퍼렇게 됨 --> 괴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 큰 혈관의 동맥경화, 또는 작은 혈관의 자율신경장애로 인한 과도한 수축으로 맥이 잘 만져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 보통은, 팔을 베고 잤을 때 저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팔을 베고 자면서 팔이 눌리므로 정맥이 눌리게 되어 혈액이 정체되어 신경으로 제대로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고, 시간이 지나면 회복된다.

 

 

6. 손목터널증후군

- 엄지, 검지, 중지, 약지의 절반까지

- 처음에는 1(엄지), 2(검지)만 저리다가 점점 더 확대되고 나중에는 손바닥 전체가 저리다. 더 진행되면 감각신경이 망가져서 둔해진다. 즉 감각이 없어진다. 이 신경은 근육도 담당해서 진행되면 근육도 위축될 수 있다 (엄지두덩이가 말라간다).

- 꺾어서 불편한 자세로 있으면 손저림이 더 심해진다.

- 밤에 더 저린다. (제사, 골프, 운전)

- 누가 잘 걸리나? 중년여성, 할머니(애 많이 안을때), 당뇨, 비만, 식당일, 목수, 운전수

- 신경전도검사 (20분정도 걸리는 간단한 검사)로 진단이 된다.

- 휴식이 최고이고 손목을 못쓰게 고정.. 가급적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한다.

- 일반적인 NSAID는 효과 없다. 스테로이드 경구약이나 주사는 효과는 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수술

 

7. 목디스크

- 목디스크도 손저림을 유발할 수 있다.

- 손뿐만 아니라 목에서부터 흐르듯 저리다. 좀더 길쭉하게.., 목 어깨를 거쳐 뻗쳐나오는 양상으로

 

8.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 우리 몸에서 제일 멀리 있는 신경. 즉 발가락 끝 신경부터 망가진다.

- 발가락 끝부터 조금씩 올라가서 저림, 통증이 유발된다.

- 스타킹을 신고 나서 글러브(장갑)을 낀다. -- 발끝부터 시작해 무릎까지 올라고 난 이후에 손가락이 저리기 시작한다.

- 치료는 당조절이다.

- 저림을 덜하게 하는 약물치료 (리리카(pregabalin), 뉴론틴(gabapentin), 에트라빌(amitriptyline), 센시발(nortriptyline), 심발타(duloxetine)) --- 사실 잘 안듣는 경우가 많다.

 

9. 새끼 손가락이 저리다.

- 4, 5번 손가락이 저리는 경우, 

- 척골신경의 문제

- 밤중에 자다가 깨서 새끼손가락이 저린 경우가 여기에 해당 (자는 자세 때문)

- 경척주 뿌리병증이나 루게릭병도 비슷한 증상으로 올 수 있기 때문에 신경과 진료가 필요

 

10. 손발이 차다 (수족냉증)

-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손발이 지나칠 정도로 냉기를 느끼는 경우

- 불안, 분노, 긴장상태에서는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혈관을 수축시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손, 발로 가는 혈관이 수축한다. --> 손발이 차다고 느끼고 실제로 만져보면 차다

- 간혹 베타 차단제 투여 후 나타날 수도 있다.

- 레이노 현상 : 찬 곳에 노출되면 손가락이 하얗게 질리는 현상.. 파래지기도 (과도한 말초혈관 수축이 원인)

: 아무 병 없이도 나타날 수 있지만 간혹 류마티스병이 숨어 있을 수 있다.

: 추위에 노출을 최소화, 진동기구는 사용하지 말것, 정서적 안정, 금연

: CCB도 도움이 된다.

 

11. 심리적 원인에 의한 감각이상, 신체화장애

- 온몸이 저리다.

- 뜨겁다, 화끈거린다.

- 뇌, 척수, 말초신경의 병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증상들

- 어디든 감각이상이 가능하다

- 꾀병은 아니다. 항불안제, 항우울제 치료가 효과가 있다.

 

12. 삼차신경통

- 치통, 얼굴이 아프다, 바람만 불어도, 음식을 씹을 때, 자기만 아는 말 못할 고통

- 뇌에서 삼차신경이 나오는데 어떤 혈관이 그것을 누르는 거다. 물리적으로 누르기도 하고 눌리는 부위에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 얼굴이 아픈데, 수분간 심하게 아팠다 말았다 하는데 이것이 수개월간 좋아졌다 나빠졌다 한다 반복한다. - 신경이 눌리는 부위의 염증이 컨디션이 괜찮으면 좋아졌다가 또 나빠지기를 반복하기 때문

- 치료는 휴식, 약물치료 (항경련제), 수술 (삼차신경과 혈관 사이에 스펀지같은 것을 대어 해결한다)

 

13. 안면마비

- 7번 뇌신경의 근력마비이다. 감각마비는 없다.

- 눈을 위로 치켜뜰 때 이마에 주름이 잡히지 않고 눈썹이 처진다.

- "이" 소리를 내라고 하면 입꼬리가 처지면서 입이 반대쪽으로 돌아가고, 코와 입 사이의 깊은 주름은 보이지 않는다.

- 안면마비는 이마, 눈, 볼, 입까지 다 오는 경우가 많고, 뇌졸중 환자는 이마나 눈은 괜찮은 경우가 많다. 또 뇌졸중 환자는 같은쪽 팔 다리의 마비가 같이 있거나 발음이 어눌해질 수 있다.

 

14. 앞의 것들이 다 아닌 그냥 손발저림

(아래의 내용은 의학적으로 확고한 근거를 갖고 있지는 않는 내용임. 즉, 그럴듯한 가설 정도의 느낌으로 봐주세요!)

- 앞에 이야기한 내용들처럼 뭔가 원인이 명확하면 그 원인을 해결하면 된다. 하지만 그러한 원인이 없다면?

 

14-1. 한쪽만 그렇다.

- 그쪽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했을 수 있다

:: 과도하게 사용하면서 신경을 지속적으로 비비면서 자극한 결과일 수 있다.

:: 근육이 뭉치게 되면 (i.e, 수축했던 상태가 제대로 이완되지 않게 되고), 그것이 감각신경을 자극하면 그쪽만 저릴 수 있다.

:: 뭉친 부위의 국소적인 혈류장애가 오게되고, 이로인해 감각신경으로의 산소, 영양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 적절하게 근육을 풀어야 한다.

 

14-2. 양쪽이 다 그렇다.

- 보통은 스트레스로 인한 교감신경계의 만성적인 흥분 때문이다.

 1) 근육이 뭉치는데, 그 근육이 감각신경을 자극해서 그렇다 

 2) 혈관이 약간 수축해있는 상태가 지속된다. 감각신경으로 가는 영양소와 산소가 약간씩 부족하게 된다. 

-> 유산소운동, 이완운동, 스트레칭이 필요하다.

- 일단 교정할 수 있는 원인이 있는지 체크한다. 주로 우리몸의 균형에 문제가 있는지 체크를 해본다.

혈당, 전해질, 간기능, 콩팥기능. 만약 이상이 없다면 안심한다. 불안하면? 또 교감신경계가 흥분. 손발저림은 큰 병으로 진행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일단 안심을 하시고, 천천히 운동을 시작한다.

 

14-3. 술

- 술 먹고 난 후에 어딘가가 저린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 이것은 술이 분해된 산물이 감각신경을 자극해서 그런 것 같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