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AID총정리

NSAID는 좋은 약
이 약이 없었으면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통증을 줄이고 (진통제)
체온을 낮추고 (해열제)
염증을 줄인다 (항염제)

어떻게 그게 가능한가?
Prostaglandin을 안 만들어지게 하기 때문이다.
- 즉, COX (cyclooxygenase)에 의해 아라키돈산에서 PG이 만들어지면 그게 통증도 일으키고, 체온도 높이고, 염증도 일으키는 거다. 이 효소를 억제하는 것이 NSAID이다.

* 그런데 타이레놀 (AAP)은 진통, 해열 작용은 있지만 항염작용이 없어서 보통 NSAID라고 하지는 않는다.

(아마 주로 중추쪽에서 COX-2를 차단해서 그런 것 같다)

 

* 혈소판 기능을 억제하는 데에는 저용량 아스피린이 적격이다.

- 아스피린은 COX효소에 공유결합을 해버려서 그 활성도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한다.

- 저용량 아스피린은 COX-1만 선택적으로 억제해서 혈소판에서 TXA2를 못 만들게 한다. TXA2가 혈소판응집에 관여하는데 이게 없으니 항혈전제로 쓰일 수 있는 것이다. 이 아스피린이 미치는 효과는 혈소판의 수명동안 영구적이다. 혈소판은 DNA가 없어서 새로운 효소를 합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이 효과를 보기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한다면 저용량 아스피린 2시간 이후에 이부프로펜을 복용하면 된다. 그러면 아스피린의 항혈소판 효과가 유지된다. 반대로 하면 아스피린의 항혈소판효과가 방해받는다 (먼저가서 알짱대고 있는 격)

- 고용량의 아스피린은 COX-1과 COX-2를 모두 억제하여 진통, 해열, 항염이 다 된다.

 

* 아스피린을 제외한 다른 NSAID는 아라키돈산과의 가역적 경쟁을 통해서 COX를 억제한다.

 

* NSAID는 크게 3개의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다.

 

- category 1 : COX-1과 COX-2에 신속하고 경쟁적 가역 결합 (ibuprofen, piroxicam, mefenamic acid)
- category 2 : COX-1과 COX-2에 신속하고 낮은 친화성 가역 결합을 한 후에, 시간 의존적으로 높은 친화성 느린 가역 결합(예, diclofenac, flurbiprofen, indomethacin)
- category 3: COX-1과 COX-2에 빠른 가역 결합 후에 공유결합에 의한 효소의 변화(예, 아스피린)

 

* COX2는 왜 고안되었나

COX-1은 대부분의 조직에 발현되며 정상적인 세포 작용을 유지하는데 관여한다. 따라서 위장 점막의 보호, 혈관의 톤 항상성, 혈소판의 응집, 신장 기능 유지와 같은 항상성 유지에 관여한다. 반면 COX-2는 평상시에는 거의 검출되지 않다가 자극에 대한 염증반응으로 국소적으로 빠르게 유도된다. COX-2 선택적 저해제(이하 coxib)는 비선택적 NSAIDs에 의해서 나타나는 위장 출혈의 유해반응을 피하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 NSAID의 부작용

1) 위장관 - COX1을 억제하기 때문 (NSAID, coxib는 좀 덜함)

원래 COX1에 의해 생성되는 PGE2, PGI2가 위점액분비를 증가, bicarbonate분비 증가, 점막 혈류 증가로 위장을 보호하고 있었는데, COX-1을 방해하여 그것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위궤양, 소화관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2) 신장 - COX1, COX2억제로 인함

- PGE2, PGI2가 afferent arteriole을 확장시키고 있었는데, 그것을 차단하여 콩팥으로의 유입혈류가 감소하면,

sodium retension이 생기면서 몸이 부을 수 있다.

- 사실 이건 건강한 사람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데, 고령이거나, 심부전, 신부전 등이 있을 때 잘 발생한다.

- ACEi, ARB를 같이 쓰게되면 efferent arteriole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어서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

- 고혈압 : 모든 NSAID는 SBP, DBP공히 2-3정도 올리는데, 이는 sodium retention때문이다. 또한 NSAIDs는 CCB를 제외한 모든 혈압약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단 저용량의 아스피린 (75mg)은 혈압을 상승시키지 않고, 혈압약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다.

- AKI : 뭔가 신장에 병이 있는 사람에게 PG은 매우 중요하다. 그걸고 혈류를 겨우 유지하고 있었는데, NSAID로 갑자기 그걸 차단하면 AKI가 올 수 있다. (eGFR감소, Na축적, 부종, 고칼륨혈증, 고혈압)

 

3) 심혈관 - 혈관과 혈소판 두 부분으로 나누어 이해해볼 수 있다.

먼저 혈관, COX-2에 의해 생성되는 PGI2는 원래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소판 응집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다음 혈소판, COX-1에 의해 생성되는 TXA2는 혈소판 응집을 촉진하고 혈관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 따라서 COX2억제가 COX1억제보다 강하게 되면 혈소판 응집, 혈관수축으로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일이 발생할수도...

--- 결국은 COX-1, COX-2를 같이 억제하면 쌤쌤 (근데 사람마다 다르다. NSAID가 COX-1을 더 억제할지 COX-2를 더 억제할지 몰라..) 

 

 

 

 

 

'기역의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굴저림  (0) 2020.03.20
당뇨 신경병증에 사용되는 약물 정리  (0) 2020.03.20
손발저림  (0) 2020.03.20
빈혈의 감별과 치료  (0) 2020.03.20
근육이완제(eperisone)의 역할과 부작용  (0) 2020.03.19
어지럼증  (0) 2020.03.19
부종  (0) 2020.03.19
치매예방약 - 콜린 알포세레이트 (choline alfoscerate)의 부작용  (0) 2020.03.19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