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이완제(eperisone)의 역할과 부작용

역할 :

 

* antispasmodic으로 골격근(skeletal muscle)과 혈관평활근(vascular smooth muscle)을 이완한다.

  근육의 톤을 낮추고, 혈액순환을 돕고, 통증반사를 억제한다 (suppression of pain reflex)

  그러니까 결국은 myotonia(근긴장)를 해결해 주는 약이다. 근긴장이란 근육이 수축되고 난 후 (자의적으로 수축했건, 전기자극에 의해 수축되었건) 수축이 풀리지 않고 계속되는 것인데, 그렇게 되면 혈액공급이 잘 안되고 허혈(ischemia)상태가 되기도 하고, 통증수용체가 자극되어 아프기도 하다. 이러한 것을 한방에 해결해준다.

 

* 뇌혈관문제로 인한 어지럼증은 호전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문제가 아닌 어지럼증은 악화될 수 있다)

* 환자가 처지는 것 (sedation)이 다른 antispasmodic에 비해 약해서 비교적 임상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약이다.

* 상지 및 하지 근육의 수의운동(voluntary movement)을 더 잘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면서도 근육의 힘은 별로 떨어뜨리지 않아서 재활치료할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부작용

 

* 어지럼증(dizziness), 낮에 졸림(extreme daytime sleepiness, somnolence) 
(출처: patientlikeme.com)

-- 하지만 아래 ref(practo)에서는 드물다고 되어 있음

 

* Rash, insomnia, headache, numbness in the extremities, n/v, stomach discomfort, abdominal pain, diarrhea, constipation, weakness, lightheadedness, hot flushes, dizziness(rare)

(출처 : practo.com)

 

* 'very rare' excessive relaxation, stomachache, nausea, vertigo, anorexia, drowsiness, skin rash, diarrhea, vomiting, indigestion, GI disturbances, insomnia, headache, constipation

(출처 : wikipedie)

'기역의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굴저림  (0) 2020.03.20
당뇨 신경병증에 사용되는 약물 정리  (0) 2020.03.20
손발저림  (0) 2020.03.20
빈혈의 감별과 치료  (0) 2020.03.20
NSAID총정리  (0) 2020.03.19
어지럼증  (0) 2020.03.19
부종  (0) 2020.03.19
치매예방약 - 콜린 알포세레이트 (choline alfoscerate)의 부작용  (0) 2020.03.19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