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보호사 - 결격사유 및 자격의 취소
- 기역의 글모음
- 2021. 8. 30. 15:26
제39조의13 (요양보호사의 결격사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요양보호사가 될 수 없다.
<개정 2015. 1. 28., 2018. 3. 13., 2018. 12. 11.>
1.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호에 따른 정신질환자. 다만, 전문의가 요양보호사로서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2. 마약ㆍ대마 또는 향정신성의약품 중독자
3. 피성년후견인
4.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종료되지 아니하였거나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되지 아니한 사람
5. 법원의 판결에 따라 자격이 정지 또는 상실된 사람
6. 제39조의14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자격이 취소(이 조 제3호에 해당하여 자격이 취소된 경우는 제외한다)된 날부터 1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사람
[본조신설 2010. 1. 25.]
제3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20. 3. 4.>
1. “정신질환자”란 망상, 환각, 사고(思考)나 기분의 장애 등으로 인하여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중대한 제약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제39조의14 (요양보호사 자격의 취소) ① 시ㆍ도지사는 요양보호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그 자격을 취소할 수 있다. 다만,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경우 자격을 취소하여야 한다.
1. 제39조의13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된 경우
2. 제39조의9를 위반하여 제55조의2부터 제55조의4까지의 규정에 따른 처벌을 받은 경우
3.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자격증을 취득한 경우
4. 영리를 목적으로 노인 등에게 불필요한 요양서비스를 알선ㆍ유인하거나 이를 조장한 경우
5. 자격증을 대여ㆍ양도 또는 위조ㆍ변조한 경우
② 시ㆍ도지사는 제1항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자격을 취소하는 경우 청문을 실시하여야한다.
③ 제1항의 자격취소의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정한다.
[본조신설 2010. 1. 25.]
'기역의 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가 항생제 치료를 하는 방법 -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의 치료 (2) | 2021.09.01 |
---|---|
칼륨이 증가하면 왜 산성이 될까? (feat. type 4 RTA) (0) | 2021.08.31 |
절벽 앞에 서있습니다. 아직 떨어지지는 않았습니다. (0) | 2021.08.31 |
짜게 먹는것과 칼슘이 무슨 상관? (feat. 골다공증 있으면 싱겁게) (0) | 2021.08.30 |
요로결석 (0) | 2021.08.30 |
근로능력판정기준 (0) | 2021.08.27 |
들어올 때는 물만 들어왔는데, 나갈때는 소금물이 나간다 - SIADH의 원리 (1) | 2021.08.26 |
갑상선일반 - 갑상선기능항진증/저하증/갑상선염 (0) | 2021.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