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륨을 많이 먹으면 몸속의 칼륨이 증가하나? -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

물을 많이 마시면? --> 몸 속의 물이 많아진다 --> volume sensor, 농도센서 --> 정상 상태로 되돌린다.

당을 많이 먹으면? 당이 올라가나? -- 일시적으로는 그렇다 -- 하지만 인슐린이 곧 바로잡는다.

소금을 많이 먹으면? -- 농도가 올라가지 -- 물이 많아지고 --> 소변으로 나가서 정상화

 

K를 많이 먹으면? 건포도 바나나 시금치 쑥 미친듯이 먹었다.

--> K가 많아지나? hyperkalemia --> 부정맥 --> 사망

바나나 많이 먹으면 사망..

근데 그렇게 되지는 않지.

 

1. 세포 안으로 밀어넣는다.

- 인슐린, beta2-adrenergic receptor → Na-K-ATPase의 활성도 증가

  → 세포 안으로 밀어넣는다.

그런데, 너무 많이 먹으면 다 밀어넣지는 못할 거 아니야.

그러면 약간 ECF에 K가 증가하게 된다.

 

2. 알도스테론 증가 

- 이렇게 plasma K가 증가하면 aldosterone의 분비가 자극된다.

- 알도스테론은 콩팥에서 Na는 재흡수, K는 분비

(자세한 과정은 Na channel을 우루루 만들어서 쭉 땡기니까 lumen이 negative가 되서 K가 끌려나온다)

- 알도스테로은 또 basolateral side에서 Na-K-ATPase pump의 수와 활성도를 올린다.

-> 그러면 유입된 Na는 몸속으로 들어가고, K는 계속 빠져나가는 구조가 만들어진다.

 

3. 알도스테론과 무관한 K channel (luminal side)의 활성화

- K를 많이 먹게 되면 알도스테론과 무관한 K channel도 활성화되어 K분비를 촉진시킨다.

 

그래서 결론 : K많이 먹는다고 몸에 K가 쌓이지 않는다.

6-8시간 안에 다 빠져나간다.

 

근데 이게 안되는 사람들이 있지.

만성 콩팥병

콩팥기능이 안좋으면 2번 3번이 일어나지 않을 거 아니야

세포 내로 밀어넣는거에는 한계가 있고, -- 근데 사실 만성 콩팥병이 있으면 세포내로 K를 밀어넣는 것도 잘 안된다고 한다.

그래서 진행된 만성 콩팥병 환자들은 K섭취를 제한하게 교육한다.

 

참조>

Causes and evaluation of hyperkalemia in adults

> brief review of potassium physiology

> Regulation of urinary potassium excretion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